예기치 못한 건강 문제로 인한 간병 상황에 대비해 경제적, 정서적 부담을 줄이기 위해 간병보험에 드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는데요. 오늘 포스팅에서는 간병인 간병비 보험 차이 및 장단점, 그리고 보험료 비교 및 지원 사업 등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참고하면 좋은 글】
1. 간병인 보험 이란?
간병인보험은 보험사에서 직접 간병인을 파견하고 비용을 처리하는 보험 상품 입니다. 보험 가입자가 간병이 필요한 상황이 되면, 보험사에 연락하여 간병인을 요청할 수 있는데, 이때 보험사가 신뢰할 수 있는 간병인을 선별하게 보내어 줍니다.
해당 보험은 간병인 선택의 번거로움을 덜어주나, 상대적으로 보험료가 비싸고 갱신 주기가 짧아서 보험료 인상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2. 간병비 보험 이란?
반면 간병비 보험의 경우, 가입자가 직접 간병인을 고용하고 해당 비용을 보험사에 청구해서 보험금을 받는 형태의 보험 입니다. 보험 가입자가 간병인을 직접 선택할 수 있기 때문에 자유도가 높으며, 가족이 간병인으로 등록되어 간병할 경우 보상을 받을수도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간병인보험에 비해서 보험료가 상대적으로 저렴하고 갱신 주기가 길며, 비갱신형으로도 가입이 가능하기 때문에 장기적으로 보험료 부담이 적을수 있습니다.
3. 간병인 보험 VS 간병비 보험
간병인 보험과 간병비 보험 중 선택은 개인의 상황과 선호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간병인 보험은 보험사가 직접 간병인을 파견하여 편리하나 선택의 자유가 제한적입니다. 반면 간병비 보험은 고객이 직접 간병인을 선택할 수 있으며, 가족이 간병인으로 등록되어 간병할 경우에도 보상을 받을수 있습니다.
따라서 간병인 선택의 자유도를 중시하거나, 또는 가족 간병 가능성이 높은 경우에는 간병비 보험이 적합할 수 있습니다. 또한 장기적인 보험료 안정성을 원할 경우 비갱신형으로 가입 가능한 간병비 보험이 더 유리할 수 있습니다.
반면에 간병인 선택의 번거로움을 피하고 싶은 경우, 또는 단기적인 보장을 원하는 경우에는 간병인 보험이 더 적합할 수 있으므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4. 간병비 지원 사업
정부에서는2024년 7월부터 2025년 12월까지 요양병원 10곳의 환자 600명을 대상으로 간병비를 지원하는 1차 시범사업을 진행할 예정입니다. 중증도가 높은 환자를 대상으로 간병비의 70~80%를 지원할 계획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참고로 해당 사업은 2027년부터 전국으로 확대할 방침으로 알려져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