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 보일러 난방수 (온돌) 적정 온도 및 설정 방법 (+난방비 절감법)

여느때보다 추운 날씨로 힘든 겨울을 보내고 있을텐데요. 그나마 실내에서라도 따뜻하게 지내고 싶지만 혹여나 난방비 폭탄이 나올까 보일러를 트는 것도 망설여 집니다. 오늘 포스팅에서는 난방비 절감을 위한 겨울 보일러 난방수 적정 온도 및 설정 방법 등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참고하면 좋은 글】

✔ 겨울철 보일러 가스비 절약 꿀팁 3가지⌕

✔ 카본매트 vs 온수매트 vs 전기매트 전기세 비교⌕

✔ 전기세 많이 나오는 가전 전기제품 리스트⌕

1. 난방수 란?

개별난방 보일러 기능은 크게 실내온도, 온돌, 외출로 나뉘게 됩니다. 실온모드와 함께 자주 사용되는 온돌 모드는 바닥의 난방수 온도를 달궈서 따뜻하게 하는 방식 인데요. 실온 모드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균일하게 난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실내 온도보다 달궈진 난방수의 온도가 떨어지기 쉽습니다. 이는 실내 온도가 들쭉날쭉하거나, 야간에도 특정 온도를 꼭 유지해야 하는 집에 적합합니다. 참고로 난방수 온도는 보일러 온도 조절 장치로 조절할 수 있는데, 바로 ‘온돌’이 난방수 조절 입니다.

2. 겨울철 보일러 난방수 적정 온도

난방수 온도는 높게, 실내 온도는 낮게 해야 합니다. 참고로 온수와 온돌은 다른데, 온수는 뜨거운물을 사용하고 버리는 물이며, 온수 온도를 높이면 보일러 요금이 올라가게 됩니다. 따라서 온수와 난방수를 헷갈리지 않도록 합니다. 난방비를 절감하기 위해서는 난방수 온도는 높게 설정하고, 온수 온도는 낮게 설정하면 난방비를 절감할 수 있습니다. 참고로 봄과 가을 난방수 적정온도는 50도, 그리고 겨울철은 60~70도가 적당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3. 기타 보일러 난방비 폭탄 피하는법

하루이상 집을 비울 경우 보일러는 외출, 그리고 잘때는 예약 모드로 설정하도록 합니다. 외출모드를 누르면 5도 이상일때 보일러는 작동이 되지 않는데요. 이는 보일러를 끄고 가는 것과 같습니다. 보일러를 아예 끄거나 외출모드를 하게 되면 난방비가 더 올라갈 수 있습니다. 이러한 외출모드는 2~3일 이상 비울때만 외출모드를 이용하는 것이 좋으며, 만약 잠시 외출을 할 때는 온도를 낮게 설정하고 나가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취침시 설정해야 하는 예약모드는 설정된 시간 간격마다 최대 온도로 20~30분 가동되는 방식인데요. 취침 전 실내온도를 따뜻하게 만든 후 2~3시간 이상 예약모드를 설정하면 난방비 절감에 도움이 됩니다.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