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도 표현하지 못하는 반려동물들에게 이상이 보이면 걱정이 앞설수 밖에 없는데요. 오늘 포스팅 에서는 고양이 눈부음 결막염 원인 및 증상, 그리고 치료 방법 등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참고하면 좋은 글】
1. 고양이 눈부음 원인
고양이 눈부음 (결막염) 보통 허피스바이러스 감염이 주 원인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참고로 허피브바이러스는 고양이의 면역력이 약해졌을때 증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기에 적절한 식이조절 및 스트레스 관리가 중요합니다.
뿐만 아니라 특정 음식이나 과일, 간식, 꽃가루, 야채 등의 다양한 알러젠이 고양이의 결막을 자극할 수 있으며, 또한 드물게는 외상 혹은 눈 주변 조직의 염증으로 인한 신경 손상도 이러한 눈부음 증상을 유발할 수도 있습니다.
2. 고양이 결막염 증상
고양이 결막염 증상으로는 눈 주변이 빨개지고 눈의 흰자가 충혈되며, 또한 눈을 잘 뜨지 못하거나 윙크를 하는 모습을 보이게 됩니다. 뿐만 아니라 노란색이나 녹색의 비정상적인 눈꼽 및 콧물이 생길 수 있으며, 빛에 민감해져서 밝은 곳을 꺼리는 모습을 보이게 됩니다.
이와 함께 식욕이 감소해서 밥을 잘 먹지 않고, 눈 주변을 자주 긁는 행동을 보이거나 재채기를 하기도 합니다. 심한 경우에는 열이 나고 숨소리가 거출이 질 수 있으며, 특히나 아기 고양이의 경우 눈꺼풀끼리 서로 붙게 되는 결막 붙음증에 걸릴 위험도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3. 고양이 결막염 치료 방법
고양이의 결막염을 치료하는 방법은 원인과 증상에 따라 다양합니다. 우선 전염성 질환일 경우, 항생제나 항바이러스제를 처방 받아서 사용하게 되는 반면, 비전염성 질환의 경우는 식염수로 소독하거나 알레르기 반응을 줄이는 약물 주사를 맞게 됩니다.
수의사의 처방에 따라서 항생제인 안약, 항바이러스 안약 또는 소염제 등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고양이 눈에 이상 증상을 보일 경우 초기에 정확한 진단 및 치료를 받게 되면 빠른 회복이 가능 합니다. 그리고 일상 속에서 스트레스를 최소화 하고 생활 환경을 청결하게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4. 고양이 결막염 예방법
고양이의 결막염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평소 생활 환경을 청결하게 유지하고, 화장실 모래나 털 같은 자극물질을 최소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리고 고양이 눈에 먼지나 이물질이 들어갔을 경우, 고양이 전용 안약 이나 인공눈물 등을 이용해서 세척해 주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면역력이 약한 3개월 미만의 고양이에게 자주 발생하게 되는 결막염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칼리시나 허피스 바이러스를 예방하는 종합 백신을 접종하는 것이 좋습니다. 정기적으로 고양이 눈 상태를 관찰하고, 이상 징후가 보일 경우 수의사와 상담하여 조기에 대처하는 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