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주를 정확히 보기 위해서는 본인의 생년월일 뿐 아니라 태어난 시간도 필요한데요. 하지만 보통 본인이 태어난 시간을 알고 있는 경우는 드뭅니다. 오늘 포스팅에서는 내가 태어난 시간 아는법, 그리고 태어난 시간에서 진시와 사시, 신시 등의 시간은 언제인지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진시 vs 사시 vs 신시
진시, 사시, 신시 등은 모두 시간을 나타내는 용어로, 이는 12지를 이용한 시간대를 의미 합니다:
子時자시 : 11시 00분 – 01시 30분
丑時축시 : 01시 30분 – 03시 30분
寅時인시 : 03시 30분 – 05시 30분
卯時묘시 : 05시 30분 – 07시 30분
辰時진시 : 07시 30분 – 09시 30분
巳時사시 : 09시 30분 – 11시 30분
午時오시 : 11시 30분 – 13시 30분
未時미시 : 13시 30분 – 15시 30분
申時신시 : 15시 30분 – 17시 30분
酉時유시 : 17시 30분 – 19시 30분
戌時술시 : 19시 30분 – 21시 30분
亥時해시 : 21시 30분 – 23시 30분
2. 내가 태어난 시간 아는법
2-1 가족에게 물어보기
내가 태어난 시간을 알고 싶다면 우선 가족에게 물어보는 것이 가장 빠른 방법 입니다. 부모님, 형제자매, 친척 등 가족 중에 내가 태어난 시간을 알고 있는 사람이 있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가족 또한 내가 태어난 정확한 시간을 기억하는 경우가 드물기 때문에 부모님께 태어난시간, 몸무게 등이 적혀 있는 산모수첩 (아기수첩)이 있는지도 확인해 보도록 합니다.
2-2 병원에 문의
내가 태어난 병원에 전화를 걸어 병원 기록을 확인하는 방법 또한 있는데요. 다만, 병원에 따라 기록 보관 기간이 다를 수 있으며, 오랜 기간이 지나 폐업을 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가능한 한 빠르게 문의하는 것이 좋습니다.
2-3 출생신고서 확인
내가 태어난 시간을 아는 가장 확실한 방법은 출생신고서를 확인하는 것입니다. 출생신고서는 신생아 출생 시 가족관계등록부 및 주민등록에 등록하기 위해 시/읍/면의 장에게 이를 신고하는 내용의 문서 입니다. 여기에는 출생 시간 뿐 아니라 출생자 부모에 관한 사항 등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3. 출생신고서 조회 방법
- 출생신고서 조회를 위해서는 우선 등록기준지를 알아야 하는데, 이는 기본증명서에서 확인이 가능 합니다. 참고로 기본증명서는 ‘전자가족관계등록시스템’ 홈페이지를 통해 (증명서 발급 -> 기본증명서), 또는 동사무소에서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 등록기준지를 알았다면 본인의 등록기준지에 맞는 관할법원을 찾습니다. 검색창에 ‘관할법원 찾기’로 검색하면 됩니다.
- 관할법원을 찾았다면, 본인의 신분증과 기본증명서 (상세)를 들고 가면 출생신고서 조회가 가능 합니다.
단, 출생신고서는 27년간 보관하기 때문에 만 27세까지만 조회가 가능하므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