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구에게나 적정 키와 몸무게에 대한 욕망은 있는데요. 특히 내가, 또는 내 아이가 대한민국 평균 키 및 몸무게와 비교했을 때 어느정도인지에 대해 궁금해 집니다. 오늘 포스팅에서는 대한민국 연령별 남성 여성 평균키 및 몸무게, 그리고 키 성장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 등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대한민국 성인 평균키 및 몸무게
2022년 기준 대한민국 연령별 성인 평균키 및 몸무게는 아래와 같습니다:
- 20대: 남자 174.43cm (76.59kg), 여자 161.83cm (58.17kg)
- 30대: 남자 174.71cm (79.46kg), 여자 161.86cm (59.65kg)
- 40대: 남자 173.53cm (77.44kg), 여자 160.62cm (59.75kg)
- 50대: 남자 170.71cm (73.14kg), 여자 157.90cm (58.87kg)
- 60대: 168.00cm (69.51kg), 여자 155.30cm (58.17kg)
- 70대: 165.61cm (66.60kg), 여자 152.58cm (57.23kg)
- 80대 이상: 163.68cm (63.26kg), 여자 167.03cm (53.54kg)
2. 대한민국 청소년 평균키 및 몸무게
2022년 기준 대한민국 19세 이하 평균키 및 몸무게는 아래와 같습니다:
- 19세 이하: 남자 174.40cm (74.76kg), 여자 161.71cm (59.81cm)
참고로 2023년 기준, 학생들의 평균키의 경우 초등학교 6학년 남학생이 153.3cm, 그리고 여학생은 153.2cm로 나타났으며, 중학교 남학생의 평균키는 170.9cm,그리고 여학생은 160.9cm였으며 고등학교 3학년 남학생은 174.4cm, 그리고 여학생은 161.7cm 였다고 합니다.
3. 키 성장에 중요한 요소
보통 키는 유전이라는 말이 있지만 대한민국의 평균 키는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으며, 아들의 평균적인 발육상태가 우수해지고 의료기술도 뒷받침되고 있기에 후천적인 요인들도 키 성장에 중요한 요소가 되었습니다.
특히 아이의 식습관이나 생활환경 등을 관리해주면 키 성장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성장에 도움이 되는 운동 등 신체 활동량 늘리기, 스마트폰 사용 줄이기, 영양균형이 잡힌 식단, 규칙적인 식사, 배달 음식 줄이기, 밤 10시 이전에 잠들기 등 좋지 않은 생활습관을 제거하고 키 성장에 도움이 되는 일상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사춘기 이후 키 성장이 더뎌지면 정확한 검사를 하기도 전에 성장이 멈췄다고 생각하기 쉽지만, 성장판이 닫히는 시기는 개인마다 다르기 때문에 미리 성장을 관리하면서 성장시기에 최대한 키를 끌어올리는 것이 좋다고 하죠. 그리고 아이가 소아비만과 성조숙증의 증상을 보일경우 빠른 시일내에 병원을 방문하여 전문가의 진료 및 진단을 받아보는 것도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