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튜브 숏츠 다 보면 인스타그램 릴스로, 또 다보면 틱톡으로 넘어가는 모습은 이제 현대인들에게 남일 같지 않은데요. 이에 도파민 중독에서 벗어나고자 도파민 디톡스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오늘 포스팅에서는 도파민 중독 증상 및 디톡스 방법 등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도파민 이란?
도파민(Dopamine)은 중추신경계에 존재하는 신경전달물질의 일종으로, 아드레날린과 노르아드레날린의 전구체 입니다. 이는 중뇌의 흑질과 복측피개야 영역의 도파민 신경 세포에 분비되어 신경 신호 전달뿐 아니라 의욕, 행복, 인지, 기억, 운동 조절 등 뇌에 다방면으로 관여하게 됩니다.
도파민은 사실 평상시에도 뇌에서 분비되고 있으며, 정상적으로 분비되는 수준을 베이스라인 이라고 합니다. 문제는 현대 사회 도처에서 쉽게 얻을 수 있는 쾌락적 자극들은 도파민을 지나치게 분비되도록 유도하고 있으며, 이는 결국 평상시의 분비 수준을 베이스라인 이하로 떨어뜨리는 결과를 야기하게 되는데요. 우울해 지면 다시 쾌락에 집착을 하게 되고, 이는 앞의 과정이 반복되는 악순환을 낳게 됩니다.
2. 도파민 중독 증상
최근 유튜브, 틱톡 등에서 알고리즘에 의해 맞춤형 영상이 자동으로 재생이 되면서 휴대폰에 중독된 사람들이 많아지고 있는데요. 특히 숏폼은 단시간 안에 다수의 이목을 끌기 위해 점점 자극적인 정보와 내용으로 제작이 되다보니 계속해서 보게 되고 중독에도 이르게 됩니다.
이러한 자극적인 컨텐츠는 뇌에 짜릿한 재미를 주는데, 이때 나오는 호르몬 중에 하나가 바로 도파민 입니다. 영상을 보는 동안 뇌는 휴식을 하지 못하고 도파민 중독 증상으로 이어지기도 합니다. 잠깐의 행복감, 쾌감 등을 느낄 수 있으나 더 큰 보상을 원하기 때문에 더 자극적인 것을 찾는 악순환이 반복되는 것입니다.
3. 도파민 디톡스 방법
행복 호르몬이라는 별명을 가진 도파민은 의욕과 활기의 원천이자, 우리가 성취 쾌락같은 즐거움을 느낄때 나오지만, 부작용도 만만치 않습니다. 지나칠 경우 우리 뇌는 쾌락과 자극만 찾게 되는데요. 흥미 있는 부분에는 집중하지만 그렇지 않은 것에는 흥미와 의욕을 잃게 되죠. 이는 결국 무기력감이나 우울감에 시달리도록 만들게 됩니다. 이에 스마트폰 등장 뒤 도파민에 대한 문제의식은 최근 점차 커지고 있는데요. 이에 최근 도파민 디톡스가 화제가 되고 있습니다.
실제로 뇌에서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도파민을 완전하게 제거하는 것은 쉽지 않으나, 충동적 행동에서 벗어나는 것은 건강상에 이로우며, 집중력 향상과 맑은 정신과 같은 이점이 있다는 것을 인지하도록 합니다. 최근 유행하는 도파민 디톡스 방법은 개인마다 다르긴 하나, 디톡스 경험자들이 공유하는 대략적인 가이드라인을 살펴보자면 아래와 같습니다:
- 디톡스 대상 정하기 – 자신의 중독적 행동이 어디에서 오는지 확인
- 금지가 아닌 긍정적 변화라는 인식이 중요 – 디톡스의 목표는 자신의 습관을 이해하고 삶에 긍정적인 변화를 줄수 있도록 하는것
- 건강한 습관을 대안으로 만들기 – 소셜미디어를 하는 시간에 산책을 하거나, 텔레비전을 보는 시간이 많았다면 그 시간에 운동 수업을 넣는 등의 방식을 선택
물론 의지만으로 스마트폰 사용을 멈추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기 때문에, 물리적으로 스마트폰을 차단해 두면 도움이 됩니다. 시간을 낭비하게 하는 앱을 지우거나, 퇴근 후에는 휴대폰을 무음으로 바꾼 후 보이지 않는 곳에 두는 등의 방법이 있습니다. 그리고 최근에는 스마트폰 이용금지 규칙을 내세운 디지털 디톡스 카페 또한 생겨나고 있다고 하죠.

4. 도파민 과다분비 또는 부족 하면?
뇌에 도파민이 너무 과도하거나 부족하게 되면 ADHD, 조현병, 치매 우울장애 등의 증상을 유발하기도 합니다. 흑질의 도파민을 생성하는 세포가 특이적으로 파괴되면서 운동 능력이 점차 떨어지는 질환이 파킨슨병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연구 결과 파킨슨병을 앓고 있는 환자의 뇌 속에는 도파민이 부족하다는 사실이 밝혀진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