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11월, 최초로 시작된 코로나19 바이러스가 3년이 넘게 지속된 가운데, 다행히 현재는 하나의 감기와 같은 증상으로 간주 되고 있는데요. 하지만 이러한 바이러스의 공격은 끝이 아니었습니다. 최근 지역 어린이집을 비롯해 아이들 사이에서 유행하고 있는 급성호흡기감염증인 아데노 바이러스의 확산이 우려를 사고 있는데요. 그리고 이러한 아데노바이러스는 주로 소아에게 감염되지만, 성인에게도 감염이 될 수 있다고 하죠. 그렇다면 성인 아데노바이러스 증상 및 감염 경로 그리고 치료 방법 등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성인 아데노 바이러스 증상
무엇보다 성인 아데노바이러스 증상이 궁금해 지는데요. 아데노 바이러스는 주로 봄과 이른 여름에 유행을 하며, 잠복기는 약 1~10일 정도로 알려져 있습니다. 성인의 경우 증상은 감기처럼 오한, 두통, 배탈, 전신통, 쇠약감, 구역질 등이 나타나게 됩니다. 그리고 주로 증상이 나타나는 영유아의 경우는 폐렴과 결막염이 같이 올 수 있어 유의해야 하며, 특히 양쪽 눈이 빨개지는데 이러한 증상 때문에 ‘눈곱감기’라고도 불리기도 합니다.
2. 성인 아데노 바이러스 원인/감염 경로
아데노 바이러스의 원인은 보통 해당 바이러스와 접촉을 하거나, 바이러스가 감염되어 있는 음식물을 섭취할 경우 전파되는데요. 즉, 감염된 사람의 호흡기 분비물과 비말, 침에 접촉하는 경우에 감염될 수 있으므로 바이러스가 묻어 있는 분비물과 닿는 것을 조심해야 합니다.
3. 성인 아데노 바이러스 치료 방법
보통 성인의 경우는 충분한 휴식을 취할 경우 2~5일 내에 회복이 될 수 있다고 하죠. 하지만 증상이 오래 지속 될 경우 기관지가 약하거나 호흡기에 특히 문제가 있을 경우 폐렴으로 진행되기도 하기 때문에 내과에 방문에 초기 검진을 받을 수 있도록 합니다.
4. 아데노 바이러스 예방법
아직 아데노 바이러스에 대한 백신이나 약이 개발된 상태가 아니기 때문에, 평소에 몸 안의 염증 수치를 낮추고, 소화기관을 건강하게 유지할 필요가 있습니다. 보온과 수분공급에 신경을 쓰도록 하며, 탈수를 방지하기 위해서 물을 자주 마시면 도움이 됩니다. 그리고 목이 건조해 지지 않도록 실내 온도를 적절하게 유지하면서도 가습기를 통해 습도 조절을 잘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참고로 아데노바이러스는 호흡기 질환을 유발하는 주요 바이러스 중에 드물게 DNA 바이러스로 알려져 있는데, 이에 반해 호흡기 질환을 일으키는 RNA 바이러스는 인플루엔자바이러스, 코로나바이러스, 리노바이러스, 파라인플루엔자바이러스, 레오바이러스 등 다양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참고로 아데노바이러스의 E1A, E1B 유전자는 각각 pRb, p53에 결합하면서 이를 억제하게 되는데, 이는 세포의 과도한 성장을 촉진시키며 세포자멸사를 억제할 수 있다고 합니다. 아데노바이러스가 사람에게 암을 유발한다고 여겨지지는 않으나,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서 일부 동물에게는 암을 일으킬 수 있다고 하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