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 화재시 대피 방법 요령 (+화재보험)

아파트에는 많은 세대들이 거주하고 있기 때문에 큰 인명 피해 및 재산 피해를 불러올수 있는데요. 오늘 포스팅에서는 아파트 화재 원인 및 화재시 대피 방법 등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참고하면 좋은 글】

✔ 생명보험 VS 손해보험 차이⌕

✔ 고령운전자 차보험비 2.7% 할인받는법⌕

✔ 요양병원 VS 요양원 차이 및 장단점⌕

1. 아파트 화재 원인

아파트 화재의 주요 원인은 부주의와 전기적 요인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소방청의 최근 5년간 통계에 따르자면, 부주의로 인한 화재가 전체의 49.5%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고 합니다. 특히 부주의 중에서도 음식물 조리 중 발생한 화재가 45.7%로 가장 많았으며, 그 뒤로는 담배꽁초 (19.9%), 불씨 방치 (10.1%) 순이었습니다.

그리고 전기적 요인도 주요 아파트 화재 원인 중 하나로, 특히 여름철에는 에어컨 등 계절용 기기에서 전기적 요인에 의한 화재가 많이 발생했는데, 시간대별로는 저녁 시간인 18~20시 사이에 음식물 조리 부주의로 인한 화재가 많이 발생한 것으로 전해집니다.

2. 아파트 화재 시 피해

아파트 화재는 인명 및 재산 피해를 초래할 수 있는데, 최근 5년간 아파트 화재로 인한 인명피해는 1,781명 (사망 174명, 부상 1,607명)으로, 전체 화재 인명피해의 14.7%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특히 연기흡입으로 인한 사망이 전체 사망자의 71.2%를 차지하여 가장 큰 위험 요인으로 나타났다고 하죠. 여기서 주목해야 할 점은, 발화지점에 한정된 작은 규모의 화재에서도 다른 층의 거주자가 대피를 하다가 인명피해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았다고 합니다. 또한 겨울철과 심야시간 (00시~04시)에 인명피해 발생률이 높았습니다.

3. 아파트 화재 대피 방법

불이 났다고 해서 무조건 화점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지상이나 옥상으로 대피할 경우, 대피하는 과정에서 연기를 흡입해 인명피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즉 아파트 화재 발생시에 대피 방법은 상황에 따라 달라지게 됩니다.

우선 첫번째로 화염·연기가 자택에서 발생을 했거나 들어오는 경우에는 대피가 가능한 경우와 대피가 불가능한 경우로 나눠볼 수 있는데요. 대피가 가능한 경우에는 젖은 수건 등으로 입을 막고 계단을 이용해 지상층 혹은 옥상으로 대피를 합니다. 단, 이때 출입문을 반드시 닫고, 승강기는 절대 이용해서는 안됩니다.

만약 대피가 불가능하다면 화염·연기로부터 멀리 이동해서 문을 닫고 젖은 수건 등으로 틈새를 막도록 합니다. 이후 즉시 119 구조를 요청 합니다. 이때 대피공간이나 경량칸막이, 하향식피난구 등으로 대피할 수 있으면 더 좋습니다.

그리고 두번째로 화염·연기가 자택으로 들어오지 않는 경우에는 창문을 닫고 화재 상황을 주시하면서 실내에서 대기하도록 합니다. 이후 119에 신고하고 아파트 안내방송에 따라서 행동하도록 합니다.

4. 아파트 화재 보험

아파트에는 많은 가구들이 모여 살기 때문에 화재가 날 경우 큰 인명·재산 피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특히 자신의 아파트에서 발생한 화재로 인해 이웃에게 끼친 피해에 대한 배상 책임을 큰 재정적 부담을 안겨 줄 수 있습니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아파트 화재 보험에 가입해 두는 것이 좋습니다.

화재는 예기치 않게 언제 어디서든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아파트 화재 보험을 통해 인명 피해와 재산 손실을 최소화 하고 생활 안정을 도모할 수 있습니다.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