챗GPT 카카오 kogpt vs 네이버 서치GPT 사용법 비교 (+가입 사이트 무료 유료 한국 국내 AI 채팅로봇 챗봇)

챗봇은 대화형 인공지능의 한 종류로서 메신저와 유저가 소통하는 봇을 말합니다. 단순히 정해져 있는 규칙에 맞춰 메세지를 입력하게 되면 발화를 출력하는 단순환 챗봇에서부터 상대방의 발화를 분석하여 인공지능에 가까운 발화를 내놓는 챗봇 등 다양한 챗봇들이 있습니다. 시리나 빅스비와 같은 음성 인식 비서 서비스도 챗봇을 내장한 형태라 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국내 AI 챗봇 카카오 kogpt와 네이버 서치GPT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1. 카카오 kogpt와 네이버 서치GPT 특징 비교

카카오 kogpt는 긴 문장을 한 줄로 요약하고, 문장을 추론해 결론 예측 혹은 질문 문맥 이해 등 모든 종류의 언어 과제를 수행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키워드를 넣으면 시나 소설을 만들어 주고, 영화 내용을 작성하면 영화 제목을 만들어 줍니다. 카카오브레인은 모델의 한국어 특화 AI모델로써 GPT-3 모델의 한국어 버전입니다.

네이버 서치GPT는 대화형 챗봇과는 다르게 검색 결과를 현재와 다른 방식으로 보여주는 서비스가 될 전망이며, 필요한 검색을 통해 신뢰도 높은 최신 콘텐츠를 보여주는 방식으로 진행될 예정입니다. 또한 한국어로도 고품질 검색 데이터를 많이 보유하고 있는 네이버에서 만들어 내는 국내 AI로는 세계 정상급 기술이라 자부하며, 생성 AI의 단점으로 꼽히는 신뢰성, 최신성 부족 등 다양한 부분을 보완하여 풍부한 데이터와 네이버 기술 노하우를 접목해 해결하여 내보일 예정이라고 합니다.

2. 카카오 kogpt 사용법 및 가입방법

kogpt는 카카오 로그인으로 편하게 이용할 수 있으며, 현재는 무료로 제공되고 있습니다 검색창에 ‘kogpt’로 검색하거나 https://developers.kakao.com/product/kogpt 에 들어가면 됩니다. kogpt의 다양한 한국어 과제 해결 역량을 체험해 볼 수 있는 월별 무료 쿼터를 제공 받아 사용할 수 있으며, 월별 무료 쿼터 보다 더 많은 API 호출이 필요한 경우에는 제휴를 하면 됩니다. kogpt API는 사람처럼 제시된 한국어를 사전적, 문맥적으로 이해하고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사용자는 과제 내용을 간단하게 설명하고 질문하는 것만으로도 kopgt AIP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요청 시 파라미터 값을 조정해 요구사항에 더 잘 부합하는 결과를 유도할 수 있습니다.

3. 네이버 서치GPT 사용법 및 가입방법

네이버 서치GPT는 아직 전체적으로 오픈되지 않았기 때문에 정확한 사용방법이나 가입방법에 대한 정확한 정보가 나오지 않았지만, 네이버에서 만들어낸 서치 프로그램으로써 네이버 아이디로 가입하여 편하게 사용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해볼 수 있다. 검색을 해야 하는 요즘 시대에 맞게 일상 생활이 조금 더 편해질 전망입니다.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