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생기부 보는법 (+나이스 플러스 정부24 모바일 확인 조회 발급 출력 몇장 졸업생 개명 나이 생활기록부 민원24)

입시, 취업, 군입대 등 일상을 살다보면 초등학교, 중학교 또는 고등학교 시절 기록된 생기부가 필요한 경우가 생기는데요. 그렇다면 졸업년도에 따른 생기부 조회 및 발급 받는 방법은 어떻게 되는지, 그리고 개명과 같이 개인정보가 변경된 경우에는 어떻게 해야 하는지 등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생기부 란?

생기부는 학교생활기록부를 줄인 말로, 학교생활기록부는 한국의 초.중.고등학생의 학적을 기록한 장부를 의미 합니다. 줄여서 학생부 또는 생기부라고도 하는데요. 1995년 5.31 교육개혁에 따라서 1996학년도부터 도입이 된 생기부는 흔히 내신이라고 불리우던 교내 시험 성적에 한줄짜리 인성평가 정도가 첨가된 것이 전부였던 이전의 생활기록부를 대체 하게 되었습니다. 이후 2000년대부터 교육행정정보시스템 (NEIS: National Education Information System)이 도입이 되면서 현행 제도가 정착하게 된 것입니다.

2. 생기부 언제 필요할까?

2-1 입시

중학교, 고등학교, 대학 입학 시 필요 합니다.

2-2 취업

특히 고등학교 졸업 취업 시 회사 지원자들의 성실함과 근면함 그리고 창조성 등 종합적인 평가를 내려서 회사에 채용하기 위한 절차로 필요합니다. 반면 대학교 졸업 취업의 경우 고등학교 학교생활기록부보다는 대학 졸업증명서 및 성적증명서를 훨씬 중시 한다고 하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단, 일부 사립학교 교사 임용시 응시생들은 학교생활기록부를 요구받으며, 대기업과 중견기업의 경우에도 생기부를 보는 경우가 있습니다.

2-3 군 입대 시

장교, 민간부사관, 해, 공군, 해병대, 육군 모집병, 특수부대 부사관 지원 시 생활기록부를 확인합니다. 특히 민간부사관의 경우 고등학교 졸업 상태에서 임관하는 거나 마찬가지 이므로 생기부가 반드시 있어야 한다고 하죠.

3. 생기부 조회 / 발급 방법

생기부는 졸업 년도에 따라서 발급할 수 있는 기관이 달라지게 됩니다:

  • 2017년 2월 이후: 민원 24에서 발급
  • 재학생 및 2003년 이후 졸업생: 나이스 홈에듀 민원서비스
  • 2003년 이전 졸업생*: 지역교육청, 교육지원청, 각 급 학교 및 지자체 방문하여 수기 발급

* 2003년 이전 졸업생들의 경우 온라인 발급은 불가능 합니다.

3-1 민원 24 생기부 조회 및 발급 방법

검색창에 ‘정부24’를 조회한 후 홈페이지에 접속합니다. 그리고 홈페이지 내 검색창에서 ‘생활기록부’를 검색하면 검색 결과로 초중고 학교생활기록부, 대입전형용 학교생활기록부 등이 뜹니다. 필요한 형태의 학교생활기록부를 클릭 한 후 개인정보, 학교명 등을 입력 한 후 발급이 가능 합니다. 참고로 생기부 총 몇 장인지는 개인마다 다른데요. 후기를 보면 약 20~30장 (페이지) 정도 입니다.

참고로 모바일에서는 정부24 앱을 통해 생기부 신청이 가능합니다. 모바일에서 열람 또는 다운로드를 할 경우 출력방법을 ‘전자문서지갑’을 선택 합니다.

3-2 나이스 홈에듀 생기부 조회 및 발급 방법

검색창에 ‘나이스 홈에듀 민원서비스’ 또는 ‘나이스 대국민 서비스’로 검색 한 후 ‘나이스 대국민 서비스’ 홈페이지에 접속합니다. 메인페이지의 ‘서비스 바로가기’에서 ‘교육제증명’을 클릭한 후 ‘학교생활기록부’ 바로가기로 들어가 진행하면 됩니다.

4. 개인정보 변경된 경우 (+개명)

개명을 하는 등 만약 개인정보가 변경이 된 경우에는 생기부 정정 신청을 해야 합니다. 본인이 졸업한 학교가 아니더라도 가까운 학교 행정실에서 신청 가능하다고 하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준비물은 주민등록 초본과 신분증, 개명 확인서 등이나, 학교마다 다를 수 있으니 방문 전에 미리 전화해서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