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tGPT (챗지피티) Bard (바드) 뜻 사용법 비교 앱 가입 사이트 무료 (+챗봇gpt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MS 빙)

일상 생활을 하다 보면, 모바일 채팅은 빠질 수 없는 일상이 된 것을 느낄 수 있습니다. 업체에 문의를 할 때도 보면 채팅 상담이 주를 이루기도 하는데요. 이를 조금 더 편하게 이용하기 위해서 기업에서도 많이 사용하고 있는 것이 바로 AI 채팅로봇 (챗봇)입니다. 기업 입장에서 본다면 챗봇을 도입하여 인건비를 아낄 수 있으며, 업무 시간이 아니더라도 답변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그리고 최근 가장 화제가 되고 있는 챗봇은 바로 대화형 AI서비스, ChatGPT 입니다. 여기서 ‘챗’은 대화, ‘GPT’는 ‘사전 훈련된 생성 변환기 (Generative Pre-trained Transformer)’를 의미하는데요. 기존 AI보다 수 백배 이상의 데이터를 학습해 인간처럼 종합적 추론이 가능한 차세대 인공지능 ‘초거대 AI’를 토대로 사용자 요구에 따라 다른 결과를 ‘생성’하는 서비스이기 때문에 ‘생성형 AI’로도 불리우고 있습니다. 오늘은 최근 화제로 떠오르고 있는 ChatGPT와 라이벌 격인 구글 Bard에 대해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1. ChatGPT와 Bard 특징 비교

ChatGPT는 오픈 이후 2개월 남짓하는 시간동안 활성 이용자가 1억 명을 넘어섰다고 합니다. 간단한 키워드 몇 개만 입력해도 그럴싸한 글을 완성해 주는 놀라운 성능을 기반으로 하여 많은 인기가 있는데요. 하지만 기본적인 데이터 베이스는 2021년 기준이기 때문에 웹의 실시간 정보를 반영할 수 없습니다. 답변을 조금 더 세심하게 살펴 보면 엉뚱한 답변을 하기도 하는데요. 단, Microsoft사는 ChatGPT를 지원하는 OpenAI 소프트웨어를 Bing에 통합할 계획이라고 보고한 바 있으며, ChatGPT를 더한 빙 서비스는 실시간 검색 데이터를 기반으로 정보를 전달하기에 ChatGPT가 2021년 이후 정보를 정확하게 전달하지 못한다는 한계점을 고려하면 주목할 만한 부분 입니다.

한편 구글 Bard의 경우에는 이러한 ChatGPT의 단점을 더 보완하여 웹에 게시되어 있는 최신 정보까지 활용하여 더 정확하고 섬세한 정보를 제공해 줄 것으로 기대 되며, 두 가지를 비교했을 때 정확성의 차이가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2. 마이크로소프트 (빙) ChatGPT 사용법 및 가입방법

로그인을 한 화면 하단에 보면 텍스트 입력창이 있습니다. 질문을 하면 답변을 하게 되는데요. 이때, 질문하는 언어에 따라 같은 언어로 답변해 줍니다. 가입 방법은 어렵지 않습니다. 먼저 OpenAI 홈페이지에서 가입하면 바로 사용이 가능합니다. 구글 아이디로도 간편하게 가입할 수 있으며, 가입 후 바로 이용이 가능합니다. 가입 가능한 사이트는 https://chat.openai.com/chat 입니다. 네이버 또는 구글에 ChatGPT로 검색 후 openai.com 접속하면 홈페이지에 연결 됩니다. 무료로 이용도 가능하지만 유료 (20달러)에 가입하게 되면 결과적으로 더 똑똑한 ChatGPT와 대화를 나눌 수 있습니다.

3. 구글 Bard 사용법 및 가입방법

구글 Bard는 베타 테스터로 선정 되었다면 모바일에서 구글 앱을 열고 챗봇 아이콘을 누르면 사용가능합니다. 하지만 아직 출시 단계에 있으며 출시 된 이후 더욱 명확한 사용법에 대해 안내 되어질 예정입니다. 또한 “람다”를 기반으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질문에 대한 적절한 응답을 생성하며 날씨 예보 등 웹에 최신 등록된 질문에 대한 답도 가능할 것으로 보여집니다. 참고로 Bard 영어 뜻을 검색하면 ‘시인’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는데요. 실제로 구글에서 출시한 Bard 또한 이러한 뜻을 가지고 있는지, 또는 영문 약자인지는 출시까지 두고보아야 할 듯 합니다.

error: Content is protected !!